싸가지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죠? 저는 처음 들었을 때 발음이 너무 웃겨서 혼자 웃었던 기억이 나요. 하지만 이 단어 속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담겨있어요. 먼저 ‘싹수’ 라는 말과 관련되어있는데요, 싹수란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를 뜻하는 순우리말이에요. 그래서 “저 친구는 참 싹수가 있다” 라고 하면 좋은 뜻으로 쓰이죠. 두번째로는 ‘싹아지’ 인데요, 이것은 본래 어린아이들이 쓰는 말로 물건 따위를 부릴 만한 힘이라는 뜻입니다. 즉, 우리가 알고있는 '싸가지' 는 원래 아이들이 쓰던 말인거죠. 그렇다면 과연 어른들이 말하는 ‘싸가지’ 의 정확한 어원은 무엇일까요?
‘싸가지’ 가 무슨 뜻인지 정확히 알려주세요!
흔히 쓰이는 ‘싸가지’ 란 사전적으로는 ‘싹수’ 와 비슷한 의미이지만 실제로는 다른의미로 쓰이고 있어요. 우리말 중에서는 한자어+순우리말 조합 또는 순수하게 고유어로만 이루어진 단어들이 많아요. 예를들어 ‘바가지’ 를 떠올려보면 쉽게 이해되실텐데요, 바가지 역시 바가지는 물을 긷거나 퍼내는 데 쓰는 그릇 이라는 뜻이고, 박 은 열매 이름이랍니다. 따라서 ‘바가지’ 는 나무로 만든 둥근 모양의 그릇 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전혀 다른뜻임을 알 수 있죠. 마찬가지로 ‘싸가지’ 도 국어사전상으로는 ‘싹수’ 와 비슷하지만 실제로 쓰임세는 완전히 다르다는 점 알아두세요!
‘싸가지’ 는 어디서 유래되었나요?
앞서 말씀드린것처럼 ‘싸가지’ 는 주로 어린이들이 자주쓰는 말이었는데요, 조선시대때 양반집 자제들을 교육하던 서당에서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에게 선생님이 했던 말이었다고 해요. 당시엔 글공부를 하지 않으면 출세길이 막혀 가난해질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해야한다고 가르쳤는데, 그런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아이에게는 따끔한 충고를 해야했죠. 이때 한 학생이 자신있게 대답했다고 합니다. “제가 비록 지금은 못났지만 나중에 커서 훌륭한 사람이 되면 그때 혼내주십시오!” 이렇게 말한 학생 덕분에 이후부터는 못된짓을 하는 사람에게도 ‘싸가지 없다’ 고 표현하게 되었다고 하네요. 결국 ‘싸가지’ 는 현재까지도 나쁜 행동을 일삼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답니다.
여러분 모두 착한 마음씨를 가진 멋진사람이 되어보아요! 이상으로 주제: 싸가지는 왜 싸가지인가? 였습니다!
(이번 글에서는 싸가지의 어원과 뜻에 대에 대한 정보들을 소개해드렸는데요,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.
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공감 부탁 드려요.)
2024.01.06 - [일상] - 바보는 왜 바보라고 부를까요?
바보는 왜 바보라고 부를까요?
바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정확한 뜻과 유래는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. 그래서 이번 기회에 바보의 어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바보는 '밥을 무식하게 축내고 먹는다는 의미로 '
leerea.co.kr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돈 안 벌고 싶다면 3가지만 기억하세요! (3) | 2024.01.25 |
---|---|
이색 배달음식 BEST 5! (0) | 2024.01.21 |
초등학생 입학 선물 알아보기 (0) | 2024.01.17 |
2024년 공휴일 한방에 정리 (1) | 2024.01.07 |
바보는 왜 바보라고 부를까요? (0) | 2024.01.06 |